외래키의 주인은 1:N, N:1에선 1이고 N이 가지고 있는다. N:M 직접 연관을 맺으면 안된다. 가운데에 테이블을 하나 더 생성하여 테이블을 거쳐 관계를 맺어야 한다. N : 1 : M 형식이 된다 예시: 여러 메뉴(N)를 가지는 식당과 여러 손님(M) 사이의 주문(1) 중간 테이블인 Order테이블 @ManyToOne @JoinColumn(name = "user_id") private User user; @JoinColumn: 외래키를 매핑할 때 사용. 저장시 user_id라는 릴레이션(튜플)에 저장한다. users(손님) 테이블 @OneToMany(mappedBy = "user") private List orderList = new ArrayList(); mappedBy: 타겟 엔티티(Order)..